Dr. Khor Kuan Hua/ UPM 수의과대학 반려동물 내과·외과학과 주임교수 및 수석 강사/ 말레이시아
Veterinarian Spotlight #11: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Dr. Khor Kuan Hua
이번 호의 주인공 수의사, Dr. Khor Kuan Hua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Dr. Khor는 2002년 Universiti Putra Malaysia에서 수의학 (DVM)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2년에는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The University of Queensland, UQ)에서 수의 심장학을 중심으로 한 소동물 내과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녀는 아시아수의내과전문의(AiCVIM) 심장과 전문의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도 내과 진료와 교육에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Dr. Khor는 임상 및 학술 활동 외에도 JVM (Jurnal of Veterinary Malaysia)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수의학 연구와 전문 출판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교육자이자 임상의로서, 그녀는 반려동물의 심혈관계 및 호흡기 질환에 중점을 두고 교육, 진료 상담, 학생 지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로는 개와 고양이의 심근병증, 신장 질환, 심장사상충병, 렙토스피라증 등 인수공통감염병, 그리고 심혈관 약물의 약물동태학 등이 포함됩니다. 그녀는 현재까지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내외 협력을 통해 수의학 연구, 교육, 전문성 향상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약력:
- Universiti Putra Malaysia 수의학과 졸업, 2002
- 소동물 내과학 박사(수의심장학 전공),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UQ), 2012
- 아시아 수의내과학회(AiCVIM) 심장과 전문의
- JVM (Jurnal of Veterinary Malaysia) 편집위원 역임
- Faculty of Veterinary Medicine in UPM 주임교수 및 수석 강사 (현재)
Q1: 세 가지 단어로 자신을 표현한다면?
동정심, 협력, 헌신 — 이것이 제가 삼는 직업 정신(3C)입니다.
Q2: 수의사가 되기로 결심한 건 몇 살 때 인가요?
사실 저는 한번도 수의사가 되겠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어요. 그냥 수의학과에 진학하게 되면서 ‘한번 해보자’는 마음뿐이었죠. 첫 학기를 다니던 어느 날, 저는 간호사와 함께 한 마리 호랑이를 거의 3주간 간병하는 경험을 하게 됐습니다. 결국 그 호랑이는 세상을 떠났지만, 이 아름다운 존재는 제 마음에 깊이 남았고, 저는 ‘말 못하는 생명들을 돕는’ 길이 제 소명임을 느꼈습니다.
그때 저는 “그래, 야생동물 수의사가 되어보자!” 라고 마음을 먹었고, 인생에서 ‘Never’ 는 없다는걸 깨달았습니다.
Q3: 수의사라서 가장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임상 과정에서 단서를 찾아 진료하는 과정이 정말 흥미롭습니다. 병력, 검사 결과, 동물의 행동 등을 종합하여 진단을 내리고, 치료가 효과적일때 느끼는 보람은 이루 말할 수 없죠. 특히 보호자의 눈에 비치는 안도감과 감사의 표정은 저를 더 열심히 하게 만듭니다.
Q4: 수의사로서의 추구하는 가치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따뜻한 마음과 과학적 접근으로, 동물들의 더나은 헬스케어에 헌신하는 것입니다.
Q5: 수의사로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을 공유해 주세요.
제 커리어에는 수많은 인상적인 순간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저는 진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반려동물들과 그 가족을 매일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느끼는 보람이 가장 큽니다. 작은 회복의 신호, ‘강아지의 날’이나 ‘고양이의 날’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죠. 치료 과정을 통해 보호자들이 마음의 방향을 바꾸고, 하루하루를 더 깊은 사랑과 존재감으로 함께 보내게 되는 모습을 보면 저도 감동받습니다. 시간은 항상 짧게 느껴지지만, 반려동물과 보호자에게 모두 맞춤화된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에게 위안과 연결, 때로는 이별에 대한 준비까지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겸허한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물론 제 감정과 에너지를 다하지만, 하루의 끝에서 ‘누군가’를 도왔다는 것을 자각합니다.
Q6: 추구하는 전문 분야는 무엇인가요?
심장학은 제가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며, 전반적인 내과 영역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교육자로써의 역할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지식을 나누고 더 높은 인식을 추구하는 것이 제가 맡은 일이라 생각합니다.
Q7: 카디오버드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요?
카디오버드는 심장 진단 과정을 훨씬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만들어줍니다. 일반 임상 현장에서도 심전도 검사가 덜 어렵고 더 접근하기 쉬워졌죠. 전문의의 개입 없이도 빠르고 자신감 있게 진단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리포트 피드백 기능은 지속적인 학습을 독려하고, 1차 진료 수의사와 전문의 간의 간극을 실용적으로 좁혀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여전히 자기 주도적 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이 더 많은 동물을 도울 수 있는 핵심 열쇠라고 믿습니다. 아울러, 카디오버드를 개발한 Aniware와 Vetnetic이 푸트라 대 수의대와의 MOU 체결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주신 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기술이 학생들의 교육과 임상 훈련에 통합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교육적 자산이라 생각합니다.
Q8: 분명 꿈이 있으실텐데, 현직업을 통해서 혹은 인생에서 무엇을 이루고 싶나요?
솔직히 말하면, 저는 이 직업을 통해 반드시 이뤄야 할 ‘개인적인 꿈’은 없습니다. 하지만 교사로서 저를 진심으로 만족시키는 것은, 학생들을 멘토링하고 말레이시아 현지 또는 국제 무대에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일입니다. 이 업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몇 명의 인재를 키울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곧 미래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