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질환 환자의 체계적인 추적 관리: 실전 가이드

예상 읽기 시간: 4.7분

강아지나 고양이가 심장 질환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시작하면, 치료 효과, 질병의 진행, 치료 조정의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계적인 추적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아래는 ACVIM Staging (단계 구분)과 최신 심장학 표준에 맞춘, 근거 기반의 실용적인 접근 방법입니다.

추적 검사의 예약

추적 검사의 빈도는 질병의 중증도, 약물 변경 여부, 환자의 안정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강아지

  • B2 단계 (무증상 MMVD/DCM, 피모벤단 시작 시):
    • 초기 추적 검사는 4–8주 후에 시행하여, 임상적 내약성, 보호자의 복약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질문에 답변합니다.
    • 안정되면 1–3개월마다 재평가 후, 이후에는 6개월마다(또는 증상 변화 시 더 빨리) 재검합니다.
  • C/D 단계 (울혈성 심부전, 이뇨제 사용 중):
    • 퇴원 또는 용량 조절 후 3–7일에 재검합니다.
    • 안정화 확인을 위해 2–4주 후 재검합니다.
    • 안정 환자는 1–2개월마다 재검합니다 (호흡 수 증가, 기침, 실신, 식욕 변화 시 더 빨리 진행함).

고양이

  • HCM (무증상):
    • 경증 질환: 3–6개월마다 재검합니다 .
    • 구조 변화 진행, NT-proBNP 상승, 고혈압 발생 시 더 자주 모니터링합니다.
  • CHF (최근 진단):
    • 치료 시작 후 3–7일에 재검, 안정될 때까지 2–4주 간격으로 재검합니다.

 


 

추적 평가의 핵심 요소

1. 진료 기록 & 홈모니터링

  • 보호자 리포트 지표:
    • 수면 시 호흡 수(SRR) – 목표: 분당 ≤25–30회 (지속 상승은 CHF 재발 시사).
    • 기침(개), 운동 내성, 실신, 식욕, 음수/배뇨, 체중 변화.
    • 고양이: 스트레스 수준, 입벌린채 호흡, 통증 동반 급성 마비(ATE 가능성).
  • 약물 복용 준수: 정확한 용량과 시간 확인(예: 피모벤단 하루 2회 투여).

 

2. 신체 검사

  • 심장:
    • 심잡음 강도/위치(변화는 진행 가능성 시사).
    • 갤럽음(S3/S4는 CHF 악화 가능성).
    • 부정맥(불규칙한 맥박, 실신 위험).
  • 호흡관련: 크랙클, 흉수(고양이), 호흡 노력 증가.
  • 관류 상태: 맥박의 질, 점막의 색, 경정맥 팽창.
  • 수분 상태/체중: 급격한 체중 변화는 체액 이동 시사.
  • 혈압: 고양이에서 수축기 혈압 ≥160mmHg 시 고혈압 치료.

 

3. 진단 검사 (단계 및 안정성에 맞춤화)

A. 흉부 방사선

  • 시기:
    • CHF 재발 의심, 새로운/악화된 호흡 증상.
    • MMVD+CHF: 이뇨제 조절 및 울혈 모니터링의 주요 도구입니다. 대상부전 발생시, 용량 변화 후 7–14일, SRR 상승, 기침/호흡 곤란/체중·식욕 변화 시 반복 촬영합니다.
    • DCM/기타 CHF: 임상 지표와 병행 사용, 빈도는 증상 및 치료 변경에 따라 결정.
  • 주요 소견:
    • 폐부종 (해소되지 않으면 이뇨제 조정).
    • 심비대(VHS/VLAS) – 진행 추적.
    • 흉막삼출 (고양이의 경우 흉강천자를 필요로 할 수 있음).

B. 심장 초음파

  • 모든 환자들을 진단할 때 기본적으로 하는  검사입니다.
  • 무증상(B1/B2 MMVD, DCM 위험, 고양이 HCM): 6–12개월마다. 구조 변화·혈압·부정맥·바이오마커 변화 시 더 빨리 진행합니다.
  • CHF 동반 MMVD: 정기적으로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임상 변화, 치료 반응 불량, 건삭 파열 의심, 폐고혈압, 새로운/악화된 부정맥, 수축기능 저하 의심 시 국부 심초음파를 시행합니다 (마취전/고급 치료 결정 시 포함).
  • CHF 동반 DCM(개): 3–6개월마다 또는 임상 변화 시 진행합니다.
  • HCM/HOCM ± CHF(고양이): 약 3–6개월마다 또는 임상변화 시 LA 크기, LVOT gradient/SAM, 혈전/ 자발성 심초음파 조영 증강 SEC – “‘에코스모크” 모니터링을 위해서; 베타차단제·항혈전제 결정 참고.

C. 심전도 & 부정맥 모니터링

  • 카디오버드 AI-ECG와 홀터 :
    • 약물 용량 조절을 위한 신속한 리듬진단 (예: AF에서 딜티아젬)
    • 부정맥 의심(불규칙한 맥박).
    • 실신, 높은 VPC 부담, 심방세동.

D. 혈액 검사

  • 신장 패널 + 전해질(K⁺, Na⁺, Cl⁻):
    • 이뇨제, ACEi, 스피로놀락톤 시작/변경 후 3–7일에 확인.
    • 고질소혈증: 제일 먼저 원인 파악. 과도한 이뇨/탈수 시 이뇨제 감량+수액. 그 외 원인 치료 후 RAAS/이뇨제 재조정, 24–72시간 후 재검.
    • 저칼륨혈증: 보충제 또는 스피로놀락톤 추가.
  • NT-proBNP:
    • 상승 시 심장 부담, 감소 시 조절 양호.
    • 애매한 케이스에 유용 (기침 vs 심장 질환 vs 호흡기 질환).
  • 갑상선(고양이): 7세 이상 T4 검사.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조정

1. 이뇨제(푸로세미드/토르세미드)

  • 투약 (dose)/빈도수 증가:
    • SRR >30회/분, 부종 재발, 방사선 검사 악화 시 용량/빈도 증가.
  • CHF 조절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유지, 탈수 가능성이 높을 때 (구토, 설사, 식욕 부진, 섭취 부족) 또는 기저 질환이 해결/수술 교정된 경우(PDA, MMVD)만 감량.
  • 불응성 CHF: 토르세미드 고려,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추가 시 전해질/신장 수치 엄격하게 모니터링 해야함.

2. 피모벤단

  • 개 (MMVD/DCM): 금기 사항이 없을 시 계속 진행합니다.
  • 고양이 (CHF): LVOTO 시 주의, 관류 개선을 위해 모니터링합니다.

3. RAAS 차단(ACEi/스피로놀락톤)

  •   ACE 억제제(예: 에날라프릴):
    • 혈역학적 안정 시 시작, 고질소혈증/고칼륨혈증을 모니터링 합니다.
  • 스피로놀락톤:
    • CHF에서 항섬유화 및 K⁺ 보존 효과 위해 추가합니다.

4. 부정맥 관리

  • 심방세동: 딜티아젬 ± 디곡신(개), ECG로 조정, 혈중 디곡신 농도를 모니터링합니다.
  • 심실성 부정맥: 힘들어 하거나 실신 시 소타롤/멕실레틴을 투여합니다.

5. 고양이 특이 고려사항

  • LVOTO 동반 HCM: 안정 시 베타차단제 투여(예: 아테놀올).
  • 혈전 색전증 위험: LA 확장/SEC (에코스모크) 시 클로피도그렐.
  • 흉수: 보호자에게 빈호흡/호흡 곤란 인지 교육, 필요 시 흉강천자 계획.

 


 

조절 상태 vs 진행 상태

조절된 질병:

  • SRR ≤30회/분, 체중·식욕 안정, 방사선상 부종 없음, NT-proBNP·신장 수치 안정.

⚠️ 악화된 질병:

  • SRR >30회/분, 부종 재발, LA/LV 확장, NT-proBNP 상승, 새로운 부정맥.

 


 

보호자 커뮤니케이션 및 홈케어

  •     SRR 모니터링 교육, 조기 CHF 징후 대응 ‘구급 계획’ 을 제공합니다.
  •     약물 준수, 고양이의 저스트레스 핸들링, 체중 기록을 강조합니다.
  •     약물 변경 후 카디오버드로 리듬 체크를 원격 모니터링합니다.

심장 전문의 의뢰 시점

  •     표준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CHF의 경우.
  •     복합적 부정맥 – 전문가 필요.
  •     급속한 질병 진행 (예: 갑작스러운 LA 확장, 난치성 삼출액).

—카디오버드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