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리즈 「전환점」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ECG(심전도)가 어떻게 환자의 치료 과정을 극적으로 바꾸는지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ECG 모니터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응급 상황인 위 확장-염전 (Gastric Dilatation and Volvulus, GDV)에 초점을 맞춥니다.
환자: 급성 복부 팽만 및 헛구역질을 주요 증상으로 내원한 6세 수컷 독일 셰퍼드.
주요 증상: 전형적인 GDV 증상: 불안, 빈맥, 통증이 있고 복부팽만음 (tympanic abdomen)이 나는 복부. 당장의 초점은 즉각적인 안정화 및 수술 준비였습니다.
전환점 – 응급 ECG: 정맥 주사 카테터를 놓는 동안 팀은 CardioBird를 사용하여 빠른 ECG(심전도)를 수행했습니다. 예상된 동성 빈맥 (Sinus Tachycardia) 이상으로, 기록에는 더욱 우려되는 소견인 빈발하는 다발성심실조기수축 (multifocal Ventricular Premature Complexes, VPCs)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GDV의 알려진 합병증인 심한 심근과민성을 나타냈습니다.
ECG 소견 및 결정적 차이:
GDV에서 심장 부정맥은 흔히 발생하며 치명적입니다. 이는 심근 저산소증, 전해질 불균형 및 심장독성 물질 방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사례에서 ECG는 마취 이전에 심장의 전기적 안정성에 대한 즉각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했습니다.
본 “터닝포인트” ECG는 마취 및 의료 프로토콜을 직접 변경시켰습니다. 팀은 수술실로 바로 직행하는 대신, 리도카인 (Lidocaine) 정맥주사를 시작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억제했습니다. CardioBird를 이용한 지속적인 ECG 모니터링을 통해 팀은 마취전 그리고 마취중 심장이 더 안정된 리듬을 유지하도록 리도카인 주입을 효과에 맞춰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사전 관리적 접근은 마취 중 심장 마비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켰습니다.
여러분이 얻을 수 있는 교훈:
이 사례는 특히 독일 셰퍼드와 같은 고위험 견종의 GDV 환자를 관리하는 중요한 프로토콜을 재강화합니다:
빠른 ECG 판독을 응급 프로토콜의 표준으로 만들어 감으로써, 여러분은 수동적/반응적 치료에서 사전적/적극적 치료로 나아가게 됩니다. 여러분은 가장 취약한 환자들에게 최상의 가능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자신 있게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글로벌 커뮤니티의 일원입니다.
여러분만의 「터닝포인트」 사례가 있으신가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사례를 공유해 주세요.
Veterinarian Spotlight #18: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Dr. Anthony Leong 이번호 초대수의사로 Dr. Anthony Leong을…
예상 소요 시간: 4.13 분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 시리즈에 다시 오신…
예상 소요 시간: 4 분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The ECG Decoded: A…
Veterinarian Spotlight #17: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안가연원장님 이번호 초대수의사로 안가연원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기쁩니다. 영상의학수의사로써 책임감과…
새로운 시리즈 「터닝포인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ECG(심전도)가 어떻게 환자의 치료 과정을 극적으로…
저희는 흔히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왜 ECG 신호나 SpO₂ 플레티스모그래피에서 파생된 호흡 수가 때로는 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