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d Topic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 – 파트 3: 심장비대의 해석과 부정맥의 기원

예상 소요 시간: 3.27 분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 시리즈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을 탐구하며 기초를 다졌습니다. 이제 비정상적인 심전도로 눈을 돌려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인 심전도가 어떻게 구조적 심장 변화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리듬 장애를 일으키는 근본적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또한 심각한 구조적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왜 심전도가 정상일 수 있는지에 대한 흔하지만 중요한 질문도 다루겠습니다.

 

심장의 변형시: 심장비대에 대한 ECG 단서

만성적인 압력 또는 용적 과부하는 비대 (hypertrophy) 나 확장 (dilation) 을 일으키며, 이를 통칭하여 심장비대 (heart enlargement)라고 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변형은 심장의 전기 전도 경로를 변경시켜 예측 가능한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패턴을 인식하는 것은 기저 질환을 확인하는 핵심입니다.

1. 좌심방 비대 (LAE)

LAE는 종종 승모판 질환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비대된 심방은 전기 전도를 지연시킵니다.

  • ECG 특징: 넓고 갈라진 P파, 또는 P-mitrale

2. 좌심실 비대 (LVE)

LVE는 압력 과부하(예: 전신성 고혈압) 또는 용적 과부하(예: 동맥관 개존증)로 인해 발생합니다. 증가된 근육량은 더 큰 전기적 힘을 생성합니다.

  • ECG 특징: 증가된 QRS 진폭(높은 R파)과 연장된 QRS 지속 시간

3. 우심방 비대 (RAE)

RAE는 일반적으로 폐고혈압이나 삼첨판 질환에서 관찰됩니다.

  • ECG 특징: 높고 뾰족한 P파, 또는 P-pulmonale

4. 우심실 비대 (RVE)

RVE는 우심장의 악력 과부하(예: 중증 심장사상충증)와 함께 발생합니다.

  • ECG 특징: 우축 편위와 두드러진 S파

 

정상 ECG가 구조적 질환을 배제하지 않는 이유

임상의들이 자주 묻습니다. 심잡음이 크거나 심초음파로 확인된 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이 왜 “정상” ECG를 가질 수 있는가. 답은 매우 간단합니다: ECG는 전기적 보고서이지 구조적 보고서가 아닙니다.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변화시키는 문제만 감지할 수 있습니다. 중증의 판막 역류나 심근 기능 부전과 같은 중요한 기계적 기능 장애는 ECG의 감지 역치를 넘어설 만큼 충분한 심실 비대나 전도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ECG는 부정맥과 중대한 비대를 진단하는 데 탁월하지만, 수축성, 판막 기능 또는 혈역학적 중증도를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이것이 ECG와 심초음파가 중복이 아닌 상호 보완적인 검사인 이유입니다.

 

리듬이 왜 이상해지는가: 부정맥의 발병 기전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특성인 자동성, 유발 활동, 또는 재진입의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1. 자동능(Automaticity) 장애

이것은 SA 결절 외부의 세포나 세포군이 더 빠르게 발화하거나 SA 결절 자체가 기능 장애를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 항진된 자동능: 이차적 pacemaker 부위가 빨라져 심방성 빈맥을 유도합니다.
  • 억제된 자동능: SA 결절이 실패하여 동정지를 초래합니다.

2. 유발 활동 (Triggered Activity)

이러한 부정맥은 활동전위 이후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진동인 후탈분극 (afterdepolarizations)에 의해 촉발됩니다.

  • 조기 후탈분극 (EADs): 재분극 중 발생하며 연장된 QT 간격과 연관됩니다.
  • 지연성 후탈분극 (DADs): 재분극 이후 발생하며 칼슘 과부하(예: 디곡신 중독)에 의해 유발됩니다.

3. 재진입 (재진입성 빈맥/ Reentrant Tachycardias)

이는 발작성 빈맥의 가장 흔한 메커니즘입니다. 단일 자극이 회로를 계속해서 돌아다니며 심장을 빠른 속도로 자극합니다. 이것은 많은 심실상성 빈맥의 전형적인 메커니즘입니다.

 

실용적인 분류법

임상의를 위해 간단한 프레임워크가 도움이 됩니다:

  • 기원 부위: 심실상성 (Supraventricular) vs. 심실성 (Ventricular)
  • 심박수: 서맥 (Bradyarrhythmia) vs. 빈맥 (Tachyarrhythmia)

이 조합은 진단과 진료의 효과적인 시작점이 됩니다.

 

CardioBird에서 우리의 AI는 리듬 이상과 심장비대의 미묘한 패턴을 모두 인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우리는 복잡한 전기생리학을 명확하고 우선순위가 정리된 소견으로 번역하여 여러분이 구조와 전기신호 사이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는 또한 단일 검사의 한계와 ECG 데이터를 전체 임상맥락과 통합하는 힘을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서맥과 전도 장애의 특정 진단과 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ardioBird 팀 드림

Jenny Zhao

Recent Posts

터닝포인트: ECG(심전도)가 모든 것을 바꾼 실제 사례 – 사례 3: 발작인가, 실신인가

  새로운 시리즈 「전환점」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ECG(심전도)가 어떻게 환자의 치료 과정을…

5시간 ago

김태석 원장님/누리동물병원/한국

Veterinarian Spotlight #19: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김태성 원장님   이번호 초대수의사로 김태석원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기쁩니다.20년이…

5시간 ago

공지: CardioBird 24시간 AI-ECG 서비스 실시

  고객님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ardioBird AI-ECG 서비스 운영 시간을 확대하게 되어 기쁘게…

1주 ago

Dr. Anthony Leong/ 말레이시아

Veterinarian Spotlight #18: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Dr. Anthony Leong   이번호 초대수의사로 Dr. Anthony Leong을…

2주 ago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 – 파트 2: ECG 파형, 동성 리듬, 그리고 HRV 가이드

예상 소요 시간: 4.13 분   《심전도 디코딩: 수의사의 심장 리듬 가이드》 시리즈에 다시 오신…

2주 ago

터닝포인트: ECG(심전도)가 모든 것을 바꾼 실제 사례 – 사례 2: GDV(위 확장-염전) 환자

  새로운 시리즈 「전환점」에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ECG(심전도)가 어떻게 환자의 치료 과정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