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시간에 전류 간섭(Powerline interference)에 대해 다뤘다면, 이번에는 심전도에 자주 나타나는 또 다른 두 가지 방해 요소, 즉 근육 떨림 아티팩트(muscle tremor artifact)와 움직임 아티팩트(movement artifact)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식별하고 구분하며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면 더 깨끗한 심전도 기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티팩트 비교 표
특징 | 전류 간섭 | 근육 떨림 | 움직임 아티팩트 |
파형 | 규칙적인 미세 스파이크 (50/60Hz) | 불규칙한 미세 ‘떨림’ | 크고 불규칙한 파동 |
원인 | 전기 간섭 | 근육 수축 | 환축의 움직임 |
해결책 | 피부 접촉 개선 | 근육 이완 | 환축 안정화 |
근육 떨림 아티팩트: 보이지 않는 훼방꾼
그림 1 – 근육 떨림 아티팩트의 예
그림 2 – 전극 집게를 큰 근육부위에서 멀리함 (허벅지 대신 팔꿈치/ 손목/ 발바닥 으로)
움직임 아티팩트: 명확한 방해자
그림 3 – 움직임 아티팩트의 예
문제 해결 절차
CardioBird와 함께라면 언제나 진단급 심전도 기록이 가능합니다! 🚀
Veterinarian Spotlight #13: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왕정상 원장님 이번 이달의 수의사로 왕정상 원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Veterinarian Spotlight #12: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최인영 원장님 이번 이달의 수의사로 영등포 러브펫 동물병원의 최인영 원장님을…
ECG 측정 오류 완전 정복 시리즈 📖 예상 소요 시간: 약 3분 ECG 기록에서 아티팩트(artifact)는…
수의학 업계의 큰 플레이어가 변화를 시도할 때, 우리 모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Banfield 동물병원은 M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