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d Topic

교과서를 넘어서: 종별 정상 심전도 가이드

읽는 예상 소요 시간: 3.53분

최전선에서 반려동물 진료에 헌신하는 수의사 선생님들께 드립니다.

수십 년 동안 심전도(ECG) 판독은 고양이, 소형견, 대형견이라는 단순화된 틀에 의존해 왔습니다. 이 접근은 유용한 출발점이었으나, 현재는 축적된 연구 근거를 통해 더 정밀한 판독이 가능해졌습니다. 카디오버드는 269개 이상의 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모델을 통해 심전도 분석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진단 리포트는 여전히 널리 받아들여지는 수의학 지침과 사용하여 일관성과 명확한 소통을 보장하고 있지만, 저희 연구는 미래의 종별 기준을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수의사 선생님들께서 심전도 판독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고, 정밀 심전도 진단의 미래를 이해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합니다.

 

주요 견종별 차이: 정상과 비정상

  1. 사이트하운드 (Sighthound) 계열 – 그레이하운드, 휘핏, 살루키 등
    가장 중요한 예시입니다. 이들의 정상은 다른 개체들에게는 비정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정상: 깊은 동성서맥(40–60 bpm)과 뚜렷한 동성부정맥은 뛰어난 운동선수임을 보여주는 정상적인 징후입니다. 특히, 리드 II에서 R파가 3.0 mV를 초과하는 경우가 흔한데, 이는 큰 좌심실근육 때문이며, 이 그룹에서 좌심실 비대(LVE)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 비정상: 안정 시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높은 경우는 서맥보다 더 우려스러운 징후일 수 있습니다. 키가 큰 R파는 정상일 수 있으나, 좌전섬유속차단 (Left anterior Fascicular Block/ LAFB) 패턴이 나타난다면 일부 사이트하운드에서 기저 심근병증의 초기 지표일 수 있습니다.
  1. 단두종 – 불도그, 퍼그, 보스턴 테리어 등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높은 미주신경 긴장도로 인해 특유의 심전도 패턴을 보입니다.
    • 정상: 뚜렷한 호흡성 동성부정맥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RSA)과 변동하는 P파 형태(유주심방조율/ Wandering Atrial Pacemaker/ WAP))는 매우 흔하며 양성입니다. 심장의 위치와 잠재적 폐 변화로 인해 어느 정도의 우측축편위 (Right Axis Deviation/ RAD) 역시 정상 변이일 수 있습니다.
    • 비정상: 지속적인 빈맥성 부정맥은 거의 항상 비정상입니다. 특히, 심한 우측축편위 (RAD)가 운동 불내성 같은 임상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면 즉시 폐고혈압 (Pulmonary Hypertension/ PH) 검사를 권합니다.
  1. 위험에 취약한 초대형견 – 뉴펀들랜드, 레온베르거, 아이리시 울프하운드 등
    이 견종들은 확장형 심근병증(DCM)에 걸리기 쉬우며, 심전도에서 조기 단서가 보일 수 있습니다.
    • 정상: 큰 체구로 인해 복합파가 크지만, 사이트하운드만큼 극단적이지는 않습니다.
    • 비정상: 주의하세요! 초대형견에서 심실조기수축(VPC)이 가끔이라도 보인다면 기저 부정맥성 DCM의 중요한 경고 신호일 수 있으며, 심장초음파와 홀터 모니터링 같은 추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고양이의 종별 고려사항

고양이는 개에 비해 체형과 크기에서 다양성이 적지만, 비대성 심근병증(HCM) 같은 특정 질환에 취약한 품종이 있어 다른 해석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고위험 품종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될 수 있는 소견도 반드시 심층 검토해야 합니다.

  • 고위험 품종 – 메인쿤, 렉돌, 스핑크스, 벵갈 등
    이들 품종은 HCM에 대한 잘 알려진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정상: 일반적인 고양이 심전도 기준이 적용됩니다.
    • 비정상: 좌측축편위 (Left Atrial Deviation/ LAD/ 평균 전기축 < 0°)는 고양이에서 좌심실 비대를 가장 일관되게 보여주는 심전도 지표 중 하나입니다. 리드 II에서 R파가 0.9 mV를 초과하거나, APC(심방조기수축)나 VPC(심실조기수축) 같은 부정맥 소견이 나타난다면 결코 “정상 변이”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심전도 판독을 조정하는 실용 가이드

  • 종을 먼저 생각하세요: 심전도를 보기 전에 “이 환자의 종에서 정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세요.
  • 임상과 연관 지으세요: 환자가 건강하다면 어떤 심전도 소견은 정상 변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신이 있는 개나 심잡음이 들리는 고양이에서 같은 소견은 병리적 단서일 수 있습니다.
  • 도구를 활용하세요: 카디오버드 AI 분석은 이러한 복잡성을 깊이 이해하는 데 기반합니다. 저희 카디오버드 리포트는 잘 알려진 가이드라인에 의한 진단을 하디만, 또한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종 데이터셋중 하나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적절히 상급병원으로 의뢰하세요: 심전도는 훌륭한 선별 도구입니다. 비대나 부정맥이 의심된다면—특히 위험 종에서는—다음 단계는 명확합니다: 기능과 구조를 위한 심장초음파, 부정맥 부담을 확인하기 위한 홀터 모니터링.

 

결론: 더 똑똑한 ‘정상’을 받아들이세요

교과서적인 일반 접근을 넘어서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건강한 그레이하운드를 LVE로 오진하지 않고, 질환에 취약한 품종에서 초기의 미묘한 신호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카디오버드는 오늘날 가장 정교한 도구를 제공하면서도, 내일의 더욱 정확한 종별 표준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항상 카디오버드 리포트를 선생님의 임상적 판단과 함께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카디오버드팀 드림

YoungSam Son

Recent Posts

서위지원장님/ Joy & Smile 동물병원/ 대만

Veterinarian Spotlight #15: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서위지원장님 이달의 수의사로 서위지원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8시간 ago

고위험 고양이 품종에서 ECG와 NT-proBNP를 통한 마취 위험 경감

예상 소요 시간: 3.85분 일부 소동물 병원에서 우려스러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브리티시 쇼트헤어, 래그돌, 메인쿤과…

2주 ago

남중현 팀장님/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한국

Veterinarian Spotlight #14: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남중현 팀장님     이달의 수의사로 남중현 팀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2주 ago

Case Study: 심박수 불일치의 흥미로운 사례

카디오버드 뉴스레터가 돌아왔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일상적인 진료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심박수 불일치 사례를 다루며,…

2주 ago

왕정상 원장님 / 왕양동물병원 / 대만

Veterinarian Spotlight #13: 수의사 스포트라이트: 왕정상 원장님 이번 이달의 수의사로 왕정상 원장님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4주 ago

심장 질환 환자의 체계적인 추적 관리: 실전 가이드

예상 읽기 시간: 4.7분 강아지나 고양이가 심장 질환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시작하면, 치료 효과, 질병의…

4주 ago